리눅스 명령어 정리(1) - pwd, ls, mkdir, cd, rm

terminal, AWS EC2 등을 사용하게 되면 리눅스 명령어를 필연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앞으로 자주 terminal과 AWS EC2 등을 자주 사용하게 될테니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를 정리해보자.

1. pwd - 현재 위치(경로)가 어디인지 알려주는 명령어 print working directory

2. ls - 현재 있는 곳(디렉토리 또는 폴더)에 어떤 파일들이 들어있는지 알려주는 명령어 list
  • 예) 현재 디렉토리(폴더)에 apple 이라는 폴더가 있다면, ls를 했을 때 apple 이 출력된다.
  • 옵션1) ls -l : 퍼미션(권한), 포함된 파일수, 소유자, 그룹, 파일크기, 수정일자, 파일이름까지 보여준다
  • 옵션2) ls -a : 숨겨진 파일, 디렉토리 모두 보여준다
  • 옵션3) ls -h : 사람이 보기 좋은 형태로 출력해준다
여러 옵션들이 더 있는데 그건 아래 링크를 참고하기 바람. 또 옵션을 중복해서 사용할 수 있다.
  • 예) ls -al : 옵션 l과 a의 특징을 모두 다 적용
또 현재 있는 곳이 아닌 다른 디렉토리의 list를 보고 싶다면
  • 예) ls /user/apple 처럼 절대 경로를 지정하거나 ls apple 처럼 상대경로(현재 내가 user 폴더에 있다면)를 지정해도 볼 수 있다.


3. mkdir - 디렉토리를 만드는 것 make directory
예) mkdir kiwi 하고 ls 해보면 kiwi 폴더가 만들어졌을 것이다.

4. cd - 디렉토리(폴더) 이동을 위한 명령어 change directory 의 약자처럼 내가 가고 싶은 폴더로 이동할 때 사용한다.
  • 예1) 현재 user 디렉토리(폴더)에 있는 상황이고, user 디렉토리에 apple이라는 폴더가 있을 때, apple 폴더로 이동하는 방법은 cd apple 
  • 예2) 현재 apple 폴더에 있을 때 뒤로 가고 싶다면 cd ..
  • 예3) 원하는 폴더로 가고 싶을 때 cd 절대경로 또는 상대경로
  • 예3-1) 루트(최상위) 폴더로 가고 싶을 때, cd / 를 하면 루트 폴더로 감
5. rm -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 remove
  1. 예1) 현재 apple 이라는 파일이 있는 경우, rm apple 하면 삭제된다.
  2. 예2) 현재 apple 이라는 폴더가 있는 경우, rm -r apple 하면 삭제된다.
  3. 예3) 강제 삭제가 필요한 경우 rm -f apple 하면 삭제된다.
자주 쓰는 명령어들(touch, cp, mv, find)은 다음 글에다 또 정리하겠다.

참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부트스트랩 사용 시 버튼 오른쪽 정렬하는 방법 (How to use float-right for right align in bootstrap)

맥(Mac)에서 MySql 사용 시 Error: Can'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tmp/mysql.sock' (2)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해결 방법

HTML, CSS - footer fixed (foot 하단 고정 시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