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론탭을 이용한 리눅스 서버 용량 줄이기(How to solve linux server disk problem by using crontab)
리눅스 서버 용량이 자꾸 늘어 서버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생겼습니다.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작성합니다. 먼저 `df -h` 리눅스 명령어를 이용해 파일 시스템 별 디스크 용량을 확인해봅니다. ```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udev 971M 0 971M 0% /dev tmpfs 199M 776K 198M 1% /run /dev/xvda1 7.7G 7.6G 0.1G 99% / tmpfs 993M 0 993M 0% /dev/ tmpfs 5.0M 0 5.0M 0% /run/ tmpfs 993M 0 993M 0% /sys/ /dev/loop0 18M 18M 0 100% /dev/loop1 94M 94M 0 100% /snap/ /dev/loop2 94M 94M 0 100% /snap/ tmpfs 199M 0 199M 0% /run/ ``` 그 다음, root 위치에서부터 어떤 디렉토리에서 사용량이 많은지 확인해나갑니다. 현재 디렉토리에서 디스크 사용량 상위 10개를 확인해보는 명령어입니다. ``` du -hsx * | sort -rh | head -n 10 ``` 그 결과, 대부분이 로그 파일 용량이 문제임을 확인했습니다. 로그 파일의 경우 파일크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로그 파일 용량을 줄여주기로 했습니다. 리눅스 crontab 을 이용해 주기적으로 로그 파일 용량을 줄여주도록 합니다. 먼저, crontab으로 실행시킬 shell 파일을 생성합니다. ``` vi delete_log_file.sh ``` 만든 파일에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 #!/bin/bash truncate --size 0 파...